[한반도 브리핑] 김정은, 주한미군 필요성 인정?…폼페이오 전 美국무 회고록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·안보 이슈를 다시 정리해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베이징 특파원과 연합뉴스 북한부를 거쳐 현재 국제 분야를 맡고 있는 이봉석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먼저 주요 이슈부터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김정은 위원장이 자신을 중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주한미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전 국무장관이 이번 주 펴낸 자신의 회고록에서 소개한 내용인데요,<br /><br />오늘은 이 내용이 어느 정도로 믿을만한지, 또 사실이라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회고록에는 김정은 위원장의 흡연 습관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그리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대한 평가도 들어있습니다.<br /><br />잠시 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열병식을 앞두고 평양에 봉쇄령이 내려졌다는 소식도 자세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에 파견됐던 북한 노동자들이 집단으로 탈북해 국내에 입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이 중국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면 주한미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면서요.<br /><br />폼페이오 전 장관이 회고록에서 공개한 건데, 어떻게 보시나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마이크 폼페이오 전 장관이 이번 주 회고록을 출간했습니다.<br /><br />책 제목은 '한 치도 양보하지 마라'인데요.<br /><br />아시다시피 폼페이오 전 장관은 2018년 3월 마지막 날 CIA 국장 자격으로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했고 두 달여 뒤인 6월 12일 열린 첫 북미정상회담에도 배석했는데요.<br /><br />책에는 방북 시 김정은 위원장과 나눈 대화가 담겨있습니다.<br /><br />저도 아마존에서 이북을 사서 내용을 살펴봤는데요, 민감한 내용이라 주한미군과 관련한 내용을 그대로 직역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<br /><br />"나는 김 위원장에게 말했다. 중국 공산당은 주한미군이 철수하면 김 위원장이 기쁠 것이라고 계속 미국에 말했다고. 그때 김 위원장은 웃고 테이블을 내리치며 '중국인들은 거짓말쟁이'라고 말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은 또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주한미군이 필요하고 중국 공산당은 한반도를 티베트나 신장처럼 취급하기 위해 주한미군 철수를 필요로 한다고 말했다."<br /><br />폼페이오 전 장관은 김 위원장의 발언을 토대로 한반도에서 미국의 미사일과 지상 전력이 확장되더라도 북한이 불만을 품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.<br /><br />폼페이오 전 장관은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김 위원장이 3가지 전제조건, 즉 핵을 포기하더라도 이라크의 후세인이나 리비아의 카다피의 비참한 말로와는 다를 것, 비핵화한 북한이 번영하고 정권도 계속될 것, 중국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 것 대한 믿음이 필요했다고 서술하면서 김 위원장과 이런 대화 내용을 소개했습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북한도 중국의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과 중국이 겉으론 혈맹처럼 보이지만 북한 권력 내부에선 주한미군이 철수하면 중국이 북한을 속국처럼 취급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도사리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폼페이오 전 장관은 비핵화 협상에서 중국이 북한에 재량을 거의 주지 않았다는 주장도 펼쳤습니다.<br /><br />다시 회고록을 그대로 직역해보면요.<br /><br />싱가포르 정상회담 때를 묘사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"중국 공산당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거의 제로에 가까운 협상 타결을 위한 재량을 줬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이 나나 트럼프 전 대통령을 만날 때마다 며칠 전 시 주석과 대부분 직접 만나 오래도록 대화했다.<br /><br />북한 문제는 언제나 중국 공산당과의 대리전으로 여겨져야 했다.<br /><br />중국은 북한을 모두 통제하고 있지는 않지만 거의 근접했다."<br /><br />사실 북한의 중국에 대한 거부감은 뿌리 깊습니다. 잠시 전문가의 얘기 듣고 다시 이어가겠습니다.<br /><br /> "이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 때도 클린턴 행정부와의 북미대화가 있을 때마다 우리의 주적은 미국이 아니다, 우리가 핵무기를 개발하는 진짜 이유는 중국 때문이다, 이런 얘기를 미국 관리들에게 했습니다. 그건 기록에 나와 있고."<br /><br />하지만, 회고록에 나온 내용이 폼페이오 전 장관이 과장을 섞어 표현했을 수도 있고, 또 김 위원장이 이렇게 말했더라도 진심이 아니었을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북미 정상회담의 결과물을 내놓기 위한 '립 서비스'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겁니다.<br /><br />예를 들어 비슷한 시기 김정은 위원장은 평양을 방문한 정의용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게 "한미훈련을 예년 수준으로 진행하는 것을 이해한다"고 말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김여정 당 부부장은 계속 한미훈련을 비난해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회고록에는 2019년 판문점 남북미 정상의 만남 과정도 소개됐는데, 김 위원장이 당시 트럼프 대통령만 만나고 싶어했다고 폼페이오 전 장관은 적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책에는 김 위원장의 흡연 습관 등 다른 묘사도 있다면요.<br /><br />이어서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두 사람의 대화는 몇 시간에 걸쳐 계속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대화는 45분마다 끊겼는데, 다름 아니라 김 위원장이 중간중간 전화를 받고 담배를 피우러 나갔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1시간을 다 못 참을 정도로 애연가라는 얘기인데요.<br /><br />김 위원장은 자신이 고급 시가를 좋아한다고도 털어놨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폼페이오 전 장관이 협상이 끝나면 마이애미의 훌륭한 해변에서 세계 최고급 쿠바 담배를 피울 수 있게 해주겠다고 말했고, 김 위원장은 자신이 쿠바의 카스트로 가문과 친하다고 응수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김 위원장이 키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화도 몇몇 공개됐는데요.<br /><br />폼페이오 전 장관은 김 위원장의 키가 약 165㎝라면서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때 키높이 구두를 신었다면서 "김 위원장은 1인치도 양보할 수 없었다"고 적었습니다.<br /><br />또 북미정상회담 때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지은 김 위원장의 별명 '리틀 로켓맨'을 엘튼 존의 노래 제목에서 따왔다고 설명하자 김 위원장이 '로켓맨은 예스, 리틀은 노"라고 말해 회담 참석자들이 폭소를 터트렸다고 합니다...